On site during construction
Demolition completed with only the wooden structure of the hanok
Diagram
Motive - Changkyeonggoong
Location
On site - W2
On site - W2
Site section
설계 | 김영배 서현지 |
용도 | 근린생활시설 |
위치 |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 + |
면적 | 145 ㎡ |
규모 | 지상 1층 |
기간 | 2023. 09 - 2024. 04 |
협력 | 골조만 seoulpsp 대성이앤지 |
발주 | 개인 |
시공 | 공정도가 公正都家 |
진행 | 준공 |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햇빛
봄의 기지개, 여름의 열기, 가을의 선율, 겨울의 정취. 계절마다 선사하는 감정은 확연히 다르다. 겨울엔 햇볕이 반가움의 대상이 되고, 여름엔 가끔 부담스러울 수 있다. 햇빛이 가장 아름다울 때는 언제인가 묻는다면, 나뭇잎을 통해 비치는 빛이라고 말한다. 나뭇가지와 잎을 거치며 빛이 세상에 스며들듯 살짝 드러나는 그 빛은 어스름한 숲 속, 빛의 물결이 길을 밝혀주기도 한다. 일본어에서는 나뭇잎 사이로 비치는 햇살이란 뜻을 담은 '코모레비'라 말이 있다. 찬란하지 않고, 나무 사이로 조용히 비치는 빛은 우리에게 위안을 주기도 한다. 잎사귀의 푸르름을 더욱 깊게 해주는 이 빛은 여름 숲길에서는 고마운 존재가 되며, 겨울에는 마음을 따스하게 녹여준다.
이런 유사한 분위기를 내는 장소를 경험해보았는데, 창덕궁의 처마가 높이가 다르게 겹쳐져 보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궁궐은 품격이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가는 순서이며 건물들의 신분과 위계 질서라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빛을 통해 공간을 재해석하고, 자연과 건축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을 창출하는 데 성공했다. 처마 사이의 틈은 마치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빛과 같다.
오래된 시간과 현재가 만나다, “시간의 여백”
왕십리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시간의 여백”이라 부르는 것은, 한옥과 상가 건축물의 재해석을 통해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집 속의 집을 두는 건축 형식으로 전통 한옥의 목구조와 현대식 목구조의 중첩된 사이 공간을 만들어냈다. 한옥의 기와와 단청, 목구조의 전통적인 요소와 상가 건축의 현대적인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새롭게 해석된 여백을 상징하며, 공간에서 느껴지는 여유로움과 시간을 초월한 아름다움을 강조하기도 한다. 건물의 외관은 전통적인 기와와 현대적인 건축 재료가 조화를 이루고, 내부의 한옥 공간은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분위기를 통해 시간을 초월한 여백의 미학을 나타낸다.
기와와 단청 : 전통적인 한옥의 기와와 단청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과거의 미학적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디자인을 담아낸다.
빛과 틈 : 건물 사이사이의 틈과 그 사이로 스며드는 빛을 통해 공간의 여백을 강조하며, 이 틈은 시간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골목길 : 한옥과 상가 건축물 사이의 공간을 골목길처럼 설계하여, 방문객들에게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시간의 여백은 공간에서 느껴지는 여유로움과 시간을 초월한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건물의 외관은 전통적인 기와와 현대적인 건축 재료가 조화를 이루고, 내부 공간은 빛과 그림자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분위기를 통해 시간을 초월한 여백의 미학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