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 site
설계 | 김영배 안동균 석진주 서현지 |
용도 | 문화 및 집회시설 |
위치 | 안성시 보개면 + |
면적 | 2140 ㎡ |
규모 | 지하 1층, 지상 3층 |
기간 | 2025. 01 - |
협력 | |
발주 | 안성시 |
협업 | METAA(우의정) |
진행 | 1등, 진행중 |
안성복합문화공간은 기존 시설의 리모델링에서 외관의 큰 변화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면서 기존의 건축과 새로운 요소가 결합하여 세련된 현대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시설의 전면에 다다르게 되면 새로운 수직동선인 엘리베이터를 인식하게 되고, 휴게공간을 겸하는 스탠드를 마주하게 된다. 이렇게 공공의 흐름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지하층과 2층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제안의 핵심이다. 금번 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시설을 경험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공간의 재구조화를 이루어냈다.